2025. 1. 31. 19:55ㆍ카테고리 없음
목표달성!
앞선 1부에서는 잠재의식과 목표의 정의, 그리고 이 둘이 어떻게 연결되는지를 살펴보았다.
![](https://blog.kakaocdn.net/dn/buRNqA/btsL18ZCXo3/7ZhOS9uTfrxFfRBy7orndk/img.png)
이번 2부에서는 목표를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하는 방법에 대해 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연구들을 기반으로 정리해보겠다.
4. 목표를 더 잘 이루는 방법
1) 긍정적인 자기 암시 활용
잠재의식은 반복적인 메시지를 통해 학습한다. 그러므로 긍정적인 자기 암시를 꾸준히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 “나는 꾸준히 성장하는 사람이다.”
> “나는 건강한 습관을 유지한다.”
> “나는 목표를 이루기에 충분한 능력이 있다.”
이러한 문장을 매일 아침 거울을 보며 반복하거나, 수첩에 적어두고 수시로 읽으면 효과적이다.
2) 시각화 기법 활용
뇌는 실제 경험과 상상을 구별하지 못한다. 그렇기 때문에 목표를 이루었을 때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것은 강력한 동기 부여 요소가 된다.
예를 들어, 마라톤 완주가 목표라면 완주하는 순간의 감정, 주변의 소리, 몸의 느낌까지 세세하게 상상해보는 것이 도움이 된다.
![](https://blog.kakaocdn.net/dn/1YNIU/btsL1k68oV4/ZWIbEye8AyrvymIGrdb3zk/img.png)
3) 작은 습관부터 만들기
목표를 이루기 위해서는 작은 습관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큰 목표를 한 번에 이루려 하기보다, 작고 쉬운 습관부터 시작하는 것이 지속 가능성을 높인다.
예를 들어, "매일 1시간 독서"가 목표라면 처음에는 하루 5분 독서부터 시작하는 것이 좋다.
작은 성공이 쌓이면 자연스럽게 목표를 향한 동력이 생긴다.
4) 목표를 현재형으로 기록하기
목표를 설정할 때, 미래형이 아니라 **현재형으로 작성하는 것**이 잠재의식에 더 강하게 각인된다.
> ❌ “나는 3개월 후에 영어를 잘하게 될 것이다.”
> ✅ “나는 매일 영어를 공부하는 사람이다.”
현재형 목표는 ‘이미 이루어진 것처럼’ 느껴지게 하여, 잠재의식이 자연스럽게 그 목표를 향해 움직이게 만든다.
![](https://blog.kakaocdn.net/dn/boNcyJ/btsL3nnVNdf/kX4Gp3yP8P59x12PUjIrik/img.png)
5) 환경을 목표에 맞게 조성하기
잠재의식은 환경의 영향을 크게 받는다. 따라서 목표를 이루기 쉽게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 건강한 식습관을 원한다면, 집에 과자를 치우고 과일을 눈에 잘 보이는 곳에 두기
- 운동 습관을 기르려면, 운동복을 침대 옆에 준비해두기
- 생산성을 높이려면, 책상에서 방해 요소(스마트폰, SNS)를 없애기
이처럼 환경을 목표에 맞게 조정하면, 의지력에 의존하지 않고도 목표 달성이 쉬워진다.
5. 마무리하며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목표 설정과 잠재의식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연구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목표를 단순한 계획으로 끝내지 않으려면, 의식적인 노력뿐만 아니라 잠재의식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긍정적인 자기 암시, 시각화, 작은 습관 형성, 환경 조성 등의 방법을 적용한다면, 목표 달성이 더욱 쉬워질 것이다.
앞으로도 목표와 자기계발에 대한 연구를 지속적으로 탐구하며, 새로운 인사이트를 공유하고 싶다.
- 저자
- 나폴레온 힐
- 출판
- 비즈니스맵
- 출판일
- 2009.12.04